[뉴스초점] 위중증 환자 최다…중등증 이상 병상 1만개 확충<br /><br /><br />오미크론 공포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이미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고 국내에서도 전국적으로 집단 감염 사례가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미크론 움직임과 함께 코로나 상황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최재욱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보호 위원장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먼저, 주말 검사 감소 영향이 끝난 것 같습니다. 코로나 신규확진자가 다시 7,000명대가 나왔는데 최근 확진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?<br /><br /> 우려가 되는 건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서도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는 겁니다. 처음엔 가벼운 증상이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걱정을 좀 더는 감도 있었는데 오미크론 확산세가 이번 유행의 변수가 된 것 같습니다. 오미크론 추이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.<br /><br /> 미국의 경우 코로나 변이 확진자 중 73%가 오미크론 감염됐고 한 달도 채 안 돼 우세종이 된 건데요. 우리 상황을 보면 지금까지 총 234명이 감염됐는데, 첫 국내 확진자가 나온 지 20여 일 만이거든요. 델타 변이 때 60일 걸린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빠른 것 같은데 국내에서 우세종이 되려면 얼마나 걸릴 거라고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익산의 유치원, 광주 집단 감염 사례를 보면 감염이 어디서부터 시작됐는지도 파악이 잘 안 되더라고요. 이미 전국으로 퍼져 있는 상황이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그런데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게 차라리 낫다, 아니다, 세계적으로 여러 전망들,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도 계속 나오고 있는데,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어떤 점이 달라진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오미크론이 더 퍼지기 전에 확산세를 차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현재까진 경미한 증상이 많았다고 해도 다른 사례가 나올 수도 있는 건 아닌가요?<br /><br /> 정부는 오늘 오미크론 확산 방지를 위해 백신 3차 접종을 하면 오미크론 감염 예방 효과가 최대 80%라며 접종 중요성을 다시 강조했습니다. 하지만 오미크론 확진자는 추가접종까지 마친 분도 있었습니다. 결국 백신이 오미크론 감염에도 무용지물 아니냐는 지적도 있거든요.<br /><br /> 하지만 우리가 오미크론 우세종에 대비해 방역도 대비를 갖춰야 할 것 같은데요.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